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86)
ITIL (IT Infrastructure Library, 정보기술 인프라 라이브러리) ITIL (IT Infrastructure Library, 정보기술 인프라 라이브러리) IT서비스의 운영 및 관리를 돕기 위한 문서들의 집합이다.IT조직이 사용자들의 요구에 초점을 맞춘 고객 지향 운영방식을 채택함에 따라각자 개별적인 IT관리 관행을 만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영국 정부가 다양한 IT 서비스들의 관리 방법들을 모아 만든 참고 문헌이다.
리눅스에서 인터넷을 통해 파일 다운받기 콘솔창에 wget (주소)를 써주면 바로 다운받을 수 있다. 세상에 이렇게나 쉬울 수가 없다. 예를들면 WGET http://docs.php.net/get/php-7.2.3.tar.gz/from/this/mirror 라는 명령을 내렸을 경우, 링크 이름답게 php7버전을 다운받는다.
Amazon 인스턴스의 ROOT 계정활성화 AWS EC2 인스턴스에서 ROOT 계정을 활성화 해보자.Fig.01: ec2-user 또는 Ubuntu 로 접속합니다. Fig.02: sudo 명령어를 통해서 sshd_config파일을 vi편집기로 수정합니다.PermitRootLogin항목을 yes로 바꿔준다.Fig.03: 현재 ec2-user의 ssh key를 root에 복사하여 주고, sshd service를 restart 합니다.mkdir /root/.ssh 명령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디렉토리라는 에러가 발생 합니다. Fig.04: 이제 외부에서 ssh를 통하여 root 계정으로 원격접속이 가능합니다. 원문으로 가기
[Linux] VI편집기 명령어 모음 VI 편집기 [1] 시작 vi의 실행은 한글 환경에서 vi를 입력하면 되고, 콘솔모드에서 한글을 다루려면, han을 먼저 입력한 뒤, vi를 입력하면 됩니다. 예) >vi 읽기 전용 열기 예) >vi R file >view file [2] vi의 세가지 모드 vi명령어는 다음과 같이 입력 모드, 명령 모드, 콜론 모드(ex 모드) 크게 세가지로 분리됩니다. ① 입력 모드 i, a, o, I, A, O를 누른 후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 ② 명령 모드(Esc모드) ESC키를 누른 상태 ③ 콜론 모드(Ex모드) ESC키를 누르고, :(콜론)을 입력한 상태 ① 입력 모드 다른 편집기에서 타이핑을 하여 파일의 내용을 입력하는 과정 ② 명령 모드 다른 편집기의 편집(Edit) 메뉴에서 제공하는 복사(Copy..
MySQL의 데이터 타입 MySQL 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에 대해서 알아본다. CHAR 데이터 타입CHAR와 VARCHAR(VARiable length CHARacter string)은 모두 텍스트 문자열을 허용하고, 필드의 크기를 제한한다. 두 타입의 차이점은 CHAR 필드의 모든 문자열은 크기가 정해진다는 것. 즉 더 작은 문자열을 입력하면 공백으로 채워진다. 반면 VARCHAR의 경우, 텍스트를 채우지 않으며, 입력한 텍스트 크기에 맞게 가변적으로 크기를 가진다. 그러나, VARCHAR는 각 값의 크기를 추적할 수 있는 약간의 오버헤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의 크기가 비슷하다면, CHAR가 더 효율적이다. TYPE 사용되는 바이트 예제 CHAR(n) 정확히 n (
SQL - SELECT문 SELECT문은 테이블을 구성중인 튜플 중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을 검색한다.실무에서 없으면 안되는 명령문인데, 실제로 제일 많이 사용되기도 한다. 123456SELECT PREDICATE 속성 이름 [ AS 별칭 ] 속성 이름, ...FROM 테이블 명, ...[WHERE 조건][GROUP BY 속성명, ...][HAVING 조건][ORDER BY]Colored by Color Scriptercs 위의 예제로 구성도를 파악하자. ◆ PREDICATE (프레디키트) 검색할 튜플을 제한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조건이다.ALL, DISTINCT, DISTINCTROW가 있다. - ALL: 말 그대로 모든 튜플들을 검색한다. (기본값) SELECT문을 보면 대부분 * 처리가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AL..
SQL - JOIN문 2개의 테이블에 대해 연관된 튜플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든다. JOIN은 크게 INNER JOINOUTER JOIN 으로 구분된다. ◆ INNER JOIN INNER JOIN은 또다시 두가지로 나뉘는데, EQUI JOINNON-EQUI JOIN 이 그것이다. 12345678910111213 SELECT 학번, 이름, 학생, 학과코드, 학과명FROM 학생, 학과WHERE 학생.학과코드 = 학과.학과코드; SELECT 학번, 이름, 학생, 학과코드, 학과명FROM 학생 NATURAL JOIN 학과; SELECT 학번, 이름, 학생, 학과코드, 학과명FROM 학생 JOIN 학과 USING(학과코드); cs 위 세가지 SELECT문은 EQUI-JOIN을 나타낸 것이다.세 명령문이 같은 결과를 ..
SQL -DML에 대해 ◆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를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다. INSERT (삽입)DELETE (삭제)UPDATE (갱신) 세 가지를 구성한다. - INSERT 문 새로운 튜플을 삽입할 때 사용한다. 12INSERT INTO 테이블 명 (속성1, 속성2, ...)VALUES (Data1, Data2, ...);cs 위의 표기 형식이 일반적이다. 예제 1) 테이블에 이름이 "이순신"이며, "해상"부서인 장수를 삽입하는 SQL문을 작성하라.12INSERT INTO 조선 (이름, 부서)VALUES ('이순신', '해상');cs 예제 2) 테이블에 ('대한민국', '아시아', '1919-04-13', '서울')을 삽입하는 SQL문을 작성하라. 12INSERT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