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6) 썸네일형 리스트형 PHP) 불변하는 값, 상수 선언하기 상수란 변하지 않고 항상 같은 값을 가지는 수를 말한다. 어느 언어에서든 그러하듯 PHP에서도 이 상수를 선언할 수 있다. 123456Colored by Color Scriptercs php에서의 상수는 변수와 달라서 앞에 $가 붙지 않는다. 출력 : '12' define함수는 PHP초기에부터 존재했던 상수 선언함수다. 매개변수를 3개나 사용할 수 있으며, 첫번째는 이름 두번째는 값 세번째는 영문자의 대소문자를 구분하기위한 boolean값이다.즉, true일 경우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 const 키워드를 이용해 상수 선언하기 PHP 5.3버전 이후부터는 const 키워드를 통해 상수를 따로 선언할 수 있다. 1234567cs 출력 : '13' 변수를 선언하던것처럼 하면 된다. PHP) 참조 호출, 같은 값임을 선언하다 PHP에는 참조호출 (call by reference) 이라는 기능이 있다. 이는 딱 보아도 C언어에서 본따 가져온듯하며, 개념은 훨씬 쉽다. 1234567891011121314151617cs 이 내용의 값은 ab aa aa 가 된다. 아무리 봐도 그냥 =과 똑같아 보이지만, 엄연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거의 대부분의 언어에서 그러하겠지만, equal (=)이란 양쪽이 서로 같다는것을 말하는게 아니다. 오른쪽값을 왼쪽으로 집어넣는다는 개념이지, 서로 같다는 뜻은 equal이 두개가 나란히 붙은 ==가 통용된다. &=도 마찬가지다. PHP에서는 &=가 ==와 같은 역할을 하는것이다. PHP) 변수의 유형을 알아내기 변수가 정수형인지, 문자열인지, boolean형인지 알아내야할때가 종종 있다. php는 자바스크립트같이 변수형의 기준이 자유로운편이 아니기때문에 더욱 엄격하게 다뤄지는 것이다. 변수의 유형을 알아내는 함수는 일단 is_arrayis_boolis_callableis_doubleis_floatis_intis_integeris_iterableis_longis_nullis_numericis_objectis_realis_resourceis_scalaris_string 이정도가 있다. 아무튼 드럽게 많은데, 예제를 통해 차근차근 알아보자. 123456789101112131415161718 Colored by Color Scriptercs 3행에서 정수 1을 선언하여 정수형 변수를 만들었.. PHP) isset함수, 쓰는법, 변수의 유무를 체크하기 isset함수는 자주 쓰이는 함수들중 하나인데, 이해하기는 쉽지만 확실히 짚고 넘어가지 않으면 잘못 알 수 있는 부분이다. isset은 말그대로 세팅되었는가, 변수에 값이 존재하는가를 체크하는 함수이다. 그리고 변수가 설정되었다면 true값을 반환하게 된다. 123456789101112 cs 위의 코드만 제대로 보면 이 글을 완전히 이해한 것이다. 3행에 $val이라는 변수에 'value'라는 문자열을 넣었다. 그리고 6행에서 if(isset($val)), 즉 $val이라는 변수에 isset, 값이 있는지 검사하고 그 값이 1일경우 '$val은 값이 들어있음.'이 출력되고 또 8행에선 1이 아닌 모든 상황에는 '$val은 값이 없음.'이 출력되는 것이다. PHP) 출력문 here document, Nowdoc에 대해 (EOL, EOT, EOL) PHP에서의 출력문은 대부분 echo를 사용한다. printf가 있기는 하지만 가벼운 출력에서는 echo보다 느리기때문에 대부분은 echo를 사용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긴 문자열을 표시할때 사용하는 구문은 따로 있다. 이 글의 주인공인 heredoc과 nowdoc은 쓰임새가 거의 비슷하지만 서로 조금은 다르다. 일단 예제를 살펴보자. 1234567891011121314 cs $test라는 변수에 히어닥을 적용했다. 결과는 'PHP Test...'가 띄워지게 된다. EOT구문은 터미네이션 ID라고 하는데, 큰 의미는 없다. (EOF, EOT, EOL등 아무거나 써도 된다. 물론 AAA, Korean같이 의미없는 문장들로도 가능하다. 알아두자!) heredoc은 저렇게 변수나 echo문 뒤에 cs cs 이 .. Test .... 웹페이지 스크롤바 없애기, 그에따른 대응방안 웹에서의 스크롤바는 자신이 어디까지 읽었는지, 어디쯤 왔는지 알 수 있는 용도에선 획기적이다. 하지만 다른 면으로 볼 때 (디자인적으로 후져서) 약간 거슬리기도 하고 블로거나 웹사이트 운영자라면 방문자가 내 웹공간에 더 머물도록 할 방법을 궁리해본적이 있을것이다. 스크롤바가 없다면 조금이나마 더욱 글에 집중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굳이 스크롤바가 없어야 그런 효과를 거둘 수 있는건 아니다. 요즘은 수직스크롤바가 아닌 수평스크롤바를 이용해서 상단에 작게나마 스크롤표시를 하는곳도 상당히 많이 봤는데, 일단 이 글에선 스크롤바를 없애는 기능에 대해서만 다루도록 하겠다. body::-webkit-scrollbar {display: none;} 이 태그를 css안에 넣으면 스크롤바만 사라지게 할 수 있다.. Mysql) char과 varchar의 차이 CHAR과 VARCHAR은 모두 텍스트 문자열을 담는 단위이다. CHAR은 문자의 크기가 할당량에 미치지 못할 경우, 나머지 공간은 공백으로 채워버린다. 즉, 100Byte의 크기를 지정해두고 Bino라는 글자를 넣었을때 크기는 영문 4글자이기때문에 4Byte가 되어야 하지만 CHAR의 크기가 100Byte이기 때문에 나머지는 모두 공백으로 채워진다. 하지만 VARCHAR은 크기가 100Byte라고 해도 Bino를 집어넣는다면 공간만큼 4Byte의 크기가 형성된다. 그러면 VARCHAR이 무조건 더 좋은게 아닌가? 라는 의문이 붙는다. 하지만 그러면 괜히 CHAR이 존재하는게 아니지 않겠는가. VARCHAR은 고정적인 값이 아니어서 그 값의 크기를 가늠할 딜레이가 생긴다. 즉, 오버헤드가 존재한다는 것이..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