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기애성 인격장애 [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

자기애성 인격장애 환자는 무한한 성공욕으로 가득 차 있고 주위 사람들로부터 존경과 관심을 끌려고 애쓴다. 지위나 성공을 위하여 대인관계에서의 착취, 공감 결여, 사기성 같은 행동 양식을 보인다. 특히 형제 없이 자란 사람에게 많이 생기며, 연극 등 예술분야, 운동, 학문연구를 하는 전문인들에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스스로 천재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평생 유병률은 1% 정도이다. 주로 사회학적, 정신역동적, 대인관계적 요인으로 설명한다. 정신병리의 핵심은 자존감과 관련된 갈등과 결함이다. 어린 아동에게서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미성숙하고 과장된 자기/타인 상이 한계를 수용한다거나 비판과 좌절을 견디면서도 긍정적인 자기-존중을 유지할 수 있는 건강한 발달 과정을 거치지 못할 때, 타인에 대해서는 이상화와 평가절하, 자신에 대해서는 과대지각과 열등감을 번갈아 가지게 된다. 대인관계에서 남을 위할 줄 모르고, 자신의 중요성을 지나치게 느껴 모든 것이 자기 중심적이다. 자기의 능력에 대해 비현실적인 자신감을 가지고 있고, 무제한적인 능력, 재물, 권력, 높은 지위, 아름다움이나 이상적 사랑을 바란다. 간혹 이러한 목표가 달성된다 하더라도 만족하지 못하고 더 큰 목표가 달성되지 못했다고 실망한다. 또한 존경과 관심의 대상이 되고자 끊임없이 애쓴다. 내면의 충실보다는 겉치장에 더 관심이 있고, 친구를 깊이 사귀는 것에 별 관심이 없고, 멋진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한다. 다른 사람이 자신을 비판할 때는 상대방에 대한 무관심과 분노로 인해 상대를 모독하고, 어떤 일에 실패하거나 실의에 빠질 때는 스스로에 대한 열등감, 수치심, 허무감으로 괴로워한다. 과대성(공상 또는 행동상), 숭배에의 요구, 감정이입의 부족이 광범위한 양상으로 있고 이는 청년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다섯 가지(또는 그 이상) 항목으로 나타난다. 신의 중요성에 대한 과대한 느낌을 가지고 있다(예: 성취와 능력에 대해서 과장한다. 적절한 성취 없이 특별대우 받는 것을 기대한다). 무한한 성공, 권력, 명석함, 아름다움, 이상적인 사랑과 같은 공상에 몰두하고 있다. 자신의 문제는 특별하고 특이해서 다른 특별한 높은 지위의 사람(또는 기관)만이 그것을 이해할 수 있고 또는 관련해야 한다고 믿는다. 과도한 숭배를 요구한다. 특별한 자격이 있는 것 같은 느낌을 갖는다. 즉, 특별히 호의적인 대우 받기를, 자신의 기대에 대해 자동적으로 순응하기를 불합리하게 기대한다. 대인관계에서 착취적이다. 즉,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타인을 이용한다. 감정이입의 결여: 타인의 느낌이나 요구를 인식하거나 확인하려 하지 않는다. 다른 사람을 자주 부러워하거나 다른 사람이 자신을 시기하고 있다고 믿는다. 오만하고, 건방진 행동이나 태도를 보인다. 치료는 환자 스스로 자기애(narcissism)를 포기하도록 하는 것인데, 본인이 심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고 도움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부터 자존감과 관련되어 수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치료자에 대해서도 특별하고 최고라고 생각될 때 치료에 참여한다. 치료에서는 이상화나 평가절하의 태도를 다루는 과정이 중요하다. 역동정신치료, 인지행동 치료, 집단치료에서 자기애성 인격장애 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이 소개되어 있으며, 장기 역동 정신치료가 실망에 대한 인내, 다른 사람의 욕구에 대한 인정, 건강한 자존감 발달을 목적으로 시도되어 왔으며 효용성은 아직 논란이 있다. 약물치료는 제한적이나, 리튬과 세로토닌 제제를 사용해 볼 수 있다. 아동기에 행실장애를 보인다. 특히 10대 이전에 복합적인 비행을 보이기 시작하면 반사회적 인격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나이가 들면서 파괴적인 행동이 줄어들기도 하지만, 건강염려증이나 우울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많은 이들이 치료시설보다는 교도소 등 범죄인 교화시설에 수감되어 있다. 간혹 특유의 공격성과 냉혹함으로 사회적인 성공을 이루는 경우도 있으나, 충동성과 무모함으로 인해 지속적인 사회적 성공은 어렵다. 마약과 같은 물질 관련 장애, 충동조절장애가 합병될 가능성이 높다. 치료가 되지 않는다는 속설과 달리, 통계적으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마도 이들 중 상당수는 나이가 듦에 따라 자신의 반사회적 행동이 오히려 사회 생활과 대인관계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닫고 행동을 교정하는정동장애, 식사장애, 물질관련 장애 경향성이 있고, 성취나 지위에 대한 중요도가 감소하는 중년기까지는 자기애적 특성의 부적응적인 면을 알지 못할 수 있다. 결혼 생활에서도 환자는 배우자가 자신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비난하면서 만성적으로 고통받을 수 있고, 우울증이나 성문제로 갈등을 겪을 수 있다.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