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은 Windows Subsystem for Linux의 이니셜로, 말 그대로 윈도우 안에 내장된 리눅스이다. 윈도우로 개발하는 것은 많은 에로사항이 있기 때문에 mac과 linux로 떠난 많은 개발자들을 회유시키기 위해 만들었다.
버전은 64bit 윈도우의 2004 업데이트 이상 OS만 가능하며, 자신의 윈도우 운영체제 빌드 번호는 winver 명령어를 내려 알 수 있다.
파워셸이나 윈도우 터미널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시킨 후 하단의 명령을 하나씩 내려본다.
1. Windows 가상머신 활성화
Enable-WindowsOptionalFeature -Online -FeatureName VirtualMachinePlatform
2. WSL 활성화
Enable-WindowsOptionalFeature -Online -FeatureName 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3. 리눅스 배포판 설치
WSL가 설치되었으니 Microsoft Store에서 Ubuntu를 설치한다. 20.04 LTS 버전은 가끔가다 자잘한 문제가 생기기도 해서, 나는 18.04 버전을 받는 편이다.
다운받은 우분투는 한번 실행시켜주길 바란다. 그러지 않으면 WSL가 아직 켜지지 않은 상태로 남는다.
WSL 2는 1의 압도적인 상위호환이다.
1. WSL 2 커널 업데이트
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wsl2-kernel 에서 이 링크로 설치할 수 있다.
2. WSL 기본 버전을 2로 선언
업데이트가 되었다면 명령이 완료될것이다.
wsl --set-default-version 2
3. WSL 버전 2 전환
wsl -l --verbose
명령을 내리면 현재 설치한 리눅스들의 이름과 상태, WSL 버전이 나열된다.
여기서 이름만 그대로 복사하여--set-version의 매개변수로 버전을 바꿀수가 있다.
wsl --set-version Ubuntu-18.04 2
이제 다 끝났지만, 몇가지 부수적인 사항들을 손볼 필요가 있다.
1. 비밀번호 삭제
현재 상황에서는 WSL을 진입할 때 일일히 비밀번호를 쳐줘야 하는 이슈는 어느샌가 해결해주었기 때문에 이 단락이 의미가 없기는 하지만 유저 자체의 비밀번호를 없애고 싶은 경우 따라하면 된다.
내 데스크탑에서 혼자 작업하는데 주기적으로 써야만 하는 비밀번호는 분명히 걸림돌이다. 이를 비활성화할 수 있는데, 보안상으로는 문제로 다가올 소지가 있으니 유의하고 따라하여야 한다.
내 user의 이름이 bino일 경우,
sudo nano /etc/sudoers.d/bino
파일에 진입하여
bino ALL=(ALL) NOPASSWD:ALL
이를 적어주고 저장하면 된다.
메모리 이슈 해결하기
WSL은 안정적인 2버전으로 도약했지만 시스템적인 부분에서 버그가 존재하는데, 그중에 가장 큰 것이 메모리 이슈다. 이를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